어떻게 이루어지나 녹내장 수술은
녹내장 수술은 어떻게 시행되는가?
안압을 낮추기 위한 녹내장 일차치료는 약물치료이지만 안압약만으로 안압을 낮추기 어려운 경우나 약물치료에도 불구하고 시신경손상 진행속도가 빠른 경우, 약제의 부작용으로 약물치료를 지속하기 어려운 경우 등에는 수술치료를 고려한다.목차절제 녹내장 수술 ▽ 섬유주절제술 ▽ 녹내장 임플란트 삽입술 녹내장 수술 후 부작용과 주의사항 녹내장 수술은 눈 주위에 마취제를 주사하거나 점안마취제로 마취를 하고 수술을 하며 특별한 문제가 없으면 다음날부터 안대를 떼고 지낼 수 있다. 수술 후 1개월 정도가 예후에 중요한 시기이며, 이 기간 동안 외래에 1주일에 1회 정도 안압 측정과 안압 조정을 위한 방문이 필요하다. 수술 후 안압이 낮거나 높을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시력이 변동될 수 있지만 대부분 한 달 정도 지나면 안정화된다.대부분의 녹내장 수술은 안구 내 방수가 안구 바깥쪽 결막 아래로 유출되도록 새로운 길을 만드는 방법을 이용한다. 가장 많이 이뤄지는 수술에는 섬유주절제술과 녹내장 임플란트 삽입술이 있다.섬유주절제술 섬유주절제술은 방수가 결막 아래 공간으로 흘러들어 결막에 물주머니인 여과포가 생기도록 하는 수술이다. 먼저 눈의 결막을 박리한 후 공막편을 만들어 공막편 아래의 방수가 통과하는 섬유주의 일부를 절제해 방수가 안구 내에서 안구 외측의 결막 아래 공간으로 원활하게 흘러나오도록 한다. 여과포 내에 도달한 방수는 천천히 결막 주위의 혈관을 통해 우리 몸에 다시 흡수된다. 섬유주절제술은 이미 오래전부터 확립된 수술법으로 성공률은 약 70~90%로 비교적 안전하고 효과적인 치료법이다.녹내장 임플란트 삽입술 녹내장 임플란트 삽입술은 섬유주절제술 이후에도 안압조절이 되지 않은 경우나 신생혈관 녹내장, 포도막염 녹내장 등 섬유주절제술 성공률이 낮은 것으로 보고된 경우 주로 시행한다. 결막 아래에 삽입된 녹내장 임플란트가 여과포와 같은 공간을 지속적으로 확보하고 임플란트에 연결된 가는 실리콘관이 전방 내로 삽입되면서 방수는 삽입된 관을 따라 흘러 녹내장 임플란트 주위의 결막 아래로 흘러가게 된다.
아메드밸브 임플란트 녹내장 임플란트 삽입술에 사용◆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녹내장 수술 후 부작용과 주의사항 녹내장 수술 초기 부작용으로 과도한 방수 유출로 인한 저안압이 발생할 수 있다. 안구 형태 및 기능 유지를 위해서는 적절한 안압이 필요하지만 저안압 상태가 지속될 경우 맥락막의 부종 및 박리가 생기거나 망막 중심부 황반부에 주름이 생겨 시력 저하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치료가 요구된다.초기 저안압을 방지하기 위해 섬유주 절제술 시 방수 유출로의 일부를 실로 봉합하고 나중에 알곤 레이저 치료로 실을 끊는 방법을 사용하기도 한다. 녹내장 임플란트 삽입술의 경우 실리콘관을 실로 부분적으로 묶거나 풀기도 한다.이외에도 여과포가 감염돼 안내염으로 발전하거나 녹내장 임플란트가 노출되거나 감염되는 부작용, 전방출혈 등이 있을 수 있지만 빈도는 높지 않은 편이다.녹내장 수술 후에는 일반적인 안내 수술 후와 마찬가지로 눈에 오염된 물질이 들어가지 않도록 하고 안압약 점안 시 손을 항상 깨끗이 씻고 점안한다. 눈을 부딪치지 않도록 주의하고 가급적 눈에 압력이 가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수술 후 일정 기간 눈에 물이 직접 닿지 않도록 하고, 외출 시에는 안대나 선글라스, 보안경을 착용해 눈에 직접적인 자극이 가지 않도록 한다.녹내장 수술에 대한 궁금한 수술을 받으면 녹내장이 완치되는 것일까?녹내장은 계속 진행되는 질병으로 현재 치료방법으로는 녹내장의 완치는 기대할 수 없다. 다만 수술 목표도 약물치료와 마찬가지로 부작용이 없는 한도 내에서 안압을 최대한 낮춰 녹내장 진행 속도를 늦추는 것이다. 수술 후 여과포 기능이 떨어지거나 방수 유출이 잘 되지 않아 안압이 다시 상승할 경우에는 안약을 다시 점안할 수도 있다. 녹내장 수술의 성공 지표로 안압을 얼마나 떨어뜨리느냐도 중요하지만 녹내장 점안약 개수를 줄이는 것도 중요하다.
수술을 받으면 시력과 시야가 회복될까.아직 손상된 신경을 되돌릴 방법은 없다. 수술은 약물치료로 조절하지 못하거나 그 외의 방법으로 치료효과를 달성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시력과 시야 손상을 예방하기 위해 시행하며 즉각적인 시력 및 시야 회복을 위한 치료방법이 아니다. 오히려 수술 후에는 저안압으로 인해 시력이 일시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