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삽입술, 보험사기 많다? 백내장 수술, 다초점 렌즈
    카테고리 없음 2021. 9. 6. 22:42

    안녕하세요 '매일 사정하는 남자' 장동호 사정사입니다

    백내장에 살면서 한 번쯤은 들어 본 적이 있는 병명입니다.

    백내장이란 우리 눈 속의 투명한 수정체에 탁함이 온 상태를 말하며, 시력 장애를 일으키는 질병을 말합니다.백내장은 복용약이나 점안액 등으로 진행 속도를 늦출 수 있지만, 최종적으로는 수술 이외에 치료 방법이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백내장 수술보험 사기에 악용되는 사례 많다

    이 때문에 최근 백내장 환자가 급증하면서 백내장 수술을 악용해 보험사기를 치는 사례가 늘고 있다는데.금융감독원이 보험사에 백내장 관련 보험사기 행위에 대해 주의보를 내릴 정도로 문제가 심각합니다.

    백내장 수술, 다초점 렌즈삽입술을 보험사기에 악용

    백내장의 경우 한쪽 눈의 수술 비용은 평균 100만원 전후라고 알려져 있습니다.포괄수가제가 적용되는 수술이지만 인공수정체 등 일부 비급여 진료항목을 예외적으로 인정받아 추가로 환자에게 청구할 수 있습니다.

    ●백내장 환자 급증…보험사기 판치는 사례 늘어

    일반 단초점 인공 수정체가 아닌 다초점 인공 수정체를 사용하면 노안과 난시까지 동시에 교정이 가능해, 수술 후 돋보기나 안경이 없어도 잘 볼 수 있다고 하는 식으로, 비급여 항목인 검사비나 다초점 렌즈비등을 인상. 수술비용을 과도하게 책정하는 현상이 잇따라 발생해 금융당국이 주시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비급여 항목 검사비, 다초점 렌즈비 등을 인상하여 수술비 과다 책정

    2016년 평균 128만원 안팎이던 백내장 수술비가 2020년 228만원으로 거의 80% 가까이 올랐다고 합니다.

    여러 개의 보험에 가입해, 한 번의 수술로 보험금을 중복해서 받는 경우도 많다.백내장 수술을 하고 보험 회사에 보험금을 청구하면 보험금이 지급됩니다.그런데 한 번의 수술로 보험금을 중복하여 지급되는 경우도 많고, 실손 보험 뿐만 아니라 수술 특약 등으로 본인 부담 비용보다 많은 보험금을 수령할 수도 있습니다.
    ●백내장 수술, 다초점 렌즈 삽입 수술 후 실비보험 청구 늘어

    이처럼 백내장 수술은 전문의의 진단을 받아 이루어지기 때문에 보험사기로 증명하기도 쉽지 않아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보험 회사는 백내장 수술로 다초점 렌즈 삽입술을 시행한 경우, 세극동현 미경검사의 영상 자료를 제출받아 실제로 백내장 여부를 확인하고 있습니다.

    백내장 수술로 다초점 렌즈 삽입술을 해 실비보험 청구 사례가 많더라도 내 빚을 백내장 수술로 받아 보험금을 타내라는 사건이 있을 정도로 무섭습니다.최근 한 보험회사가 특정 병원에서 백내장 수술보험금 청구가 늘어난 것에 대해 조사에 착수한 결과 이런 방법으로 조직적인 범죄가 일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보험사기, 해서는 안 되는 범죄입니다.실손보험 가입 시기마다 백내장 치료 목적의 수술로 다초점 렌즈 삽입술에 대해 보상을 할 수도 있습니다.보험설계사가 자세한 내용을 모르고 백내장 수술로 다초점 렌즈 삽입술을 시행하면 실비보험으로 보상을 받을 수 있다고 잘못 안내하는 바람에 환자가 고액의 수술비를 지불하고 보험사에 보험금을 지급하지 않아 분쟁이 일어나기도 합니다.

    제가 여러 번 백내장 수술 관련해서 포스팅과 유튜브 영상을 올렸습니다.백내장 수술에 대한 치료 목적의 수술이라면 실비 보험으로 보상이 가능할 수도 있지만, 노안 치료 목적으로 백내장이 아닌데 백내장에 둔답시켜(일명 생내장이라고 부른다), 수술을 하여 보험금을 청구하도록 요구하는 안과 병원이나 안과의원이 있어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보험 사기는 엄연한 범죄입니다.병원에서 알려 주고 수술을 하고 보험금을 청구했을 뿐 저는 몰랐다는 것은 항변 사유가 되지 않습니다.보험금을 탈의할 의사가 있었다면 보험금을 수령하지 않아도 보험사기로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최근 SNS에 노안 수술에 대한 많은 광고가 실려 있습니다.세심한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습니다.

    서울특별시 성북구 삼선교로 87

Designed by Tistory.